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2)저가 매수세 유입

다우 +346.87(+1.12%) 31,384.55,
나스닥 +259.50(+2.28%) 11,621.35,
S&P500 3,902.62(+1.50%),
기술주

애플(+2.40%),
마이크로소프트(+0.82%),
아마존(+1.75%),

알파벳A(+3.68%),
메타 플랫폼(+1.43%)
넷플릭스(+2.83%)
테슬라(+5.53%)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급등.
국채/금/금리

이날 채권시장은 Fed 물가 안정 의지 재확인 속 약세를 이어갔고, 달러화는 최근 강세 흐름에 따른 관망세 속 소폭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8거래일만에 반등.
2.미국뉴스
(1)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이어진 가운데, 6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美 노동부는 지난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대비 4,000명 증가한 23만5,000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3만명 보다 다소 부진한 수치임.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6월 감원 계획은 3만2,517명으로 전월 2만712명보다 57% 증가했음. 이는 2021년 2월 3만4,531명 감원 발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임. 아울러 미국의 5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11억 달러(1.3%) 감소한 855억 달러를 기록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847억 달러보다는 부진했음.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다음날 발표되는 6월 비농업 고용자 수가 25만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는 5월보다 적은 수준임.
전일 6월 FOMC 의사록에서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연방준비제도(Fed)의 강력한 의지가 재확인된 가운데, Fed 인사들의 긴축 발언은 계속 이어지는 모습.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7월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9월에는 그 폭을 50bp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Fed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더라도 미국 경제가 2022년 확장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불러드 총재는 "미국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하다"면서 "경제가 2022년에도 확장할 것"이라고 언급.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3.9%로 전장 90.9%에서 상승했음.
(2)이날 美 2년물과 10년물 국채금리의 역전 현상은 이어졌지만, 전일보다 역전폭은 축소됐음.
Fed 위원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경기 둔화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 美 국채금리가 일제히 반등한 가운데, 10년물 국채금리와 2년물 국채금리는 일제히 3%대로 올라섰음. 오후 3시 기준(동부시간)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거래일 -3.5bp에서 -2.3bp로 축소됐음.
반응형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12 미국주식]경기침체우려 중국 코로나19 봉쇄 (0) | 2022.07.12 |
---|---|
[0711 미국주식]고용지표 호조 fed 공격적 긴축 우려 (0) | 2022.07.11 |
[07/07 미국주식]FOMC의사록 공개 경기 침체 우려 (0) | 2022.07.07 |
[07/06 미국주식]경기 침체 우려 미 국채금리 급락 (1) | 2022.07.06 |
[07/01 미국주식]경기 침체 우려 지속 뉴역증시하락 (0)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