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 관련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연준 비둘기 기조 재확인(+)
다우 +189.42(+0.58%) 33,015.37,
나스닥 +53.63(+0.40%) 13,525.20,
S&P500 3,974.12(+0.29%),
기술주
애플(-0.65%),
마이크로소프트(-0.28%),
아마존(+1.48%)
알파벳A(-0.08%)
페이스북(+1.69%),
넷플릭스(+0.08%)
테슬라(+3.68%)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美 원유 재고 증가 부담 등에 소폭 하락.
국채/금/달러
美 국채가격은 비둘기 연준에도 인플레이션 경계 속에 장기물 위주로 하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비둘기 연준 속에 약세를 나타냄.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소폭 하락.
2.미국뉴스
(1)Fed는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0.00~0.25%로 유지하고 자산매입도 현재 속도를 유지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2023년까지 제로금리가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기존 전망 4.2%에서 대폭 상향 조정했음.
특히, Fed 위원들의 기준금리에 대한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서 2023년까지 제로(0) 부근 금리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변화가 없었던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내년 이후 금리 인상을 예상한 위원이 지난 12월 전망보다 늘어나기는 했지만, 평균 금리 중간값은 올해부터 2023년까지 0.1%로 동일했음.
파월 Fed 의장은 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올해 일어날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반등은 통화정책 방향을 바꾸지 못할 것으로 본다”며,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일시적이라고 언급했음. 이어 “Fed가 정책 기조 변화를 검토하려면 2.0%를 넘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이고 실질적으로 일어날 필요가 있다”며, “올해 인플레이션은 이 기준에 미치지 못 할 것”이라고 밝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에 대해서도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음.
이에 장초반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내기도 했던 美 국채 금리가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임.
(2)유럽 코로나19 상황이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각국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재차 증가하면서 '3차 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음. 아울러 최근 다수 국가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하는 등 백신 보급에도 차질이 이어지고 있음.
(3)이날 발표된 美 경제지표는 부진한 모습.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이 전월대비 10.3% 급감한 142만1,000채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음. 주택착공 허가 건수도 10.8% 급감한 168만2,000채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함.
반응형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22 미국주식] 연준 SLR완화 종료 금리 상승 우려 (2) | 2021.03.22 |
---|---|
[03/19 미국주식]국채 금리 급등 나스닥 급락 (4) | 2021.03.19 |
[03/17 미국주식]FOMC 관망세 뉴욕증시 혼조 (4) | 2021.03.17 |
[03/16 미국주식]국채 금리 하락에 나스닥 상승마감 뉴욕증시 상승 (6) | 2021.03.16 |
[03/15 미국주식]금리 재상승 기술주 하락 부양책 기대감 지속 (3) | 2021.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