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섭이의 일상/미국 주식

[09/24 미국주식]fomc 효과 지속 헝다그룹 우려 완화 뉴욕증시상승

by 헬시서비 2021. 9.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관련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FOMC 효과 지속
(2)中 헝다그룹 우려 완화

다우 +506.50(+1.48%) 34,764.82,
나스닥 +155.39(+1.04%) 15,052.24, S&P500 4,448.98(+1.21%),



기술주

애플(+0.67%),
마이크로소프트(+0.38%),
아마존(+1.05%),

알파벳A(+0.66%),
페이스북(+0.80%)
넷플릭스(+0.44%)
테슬라(+0.23%)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美 원유재고 급감 영향 지속 등에 상승.

국채/금/달러

美 국채가격은 FOMC 소화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위험선호 심리 회복 속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美 국채 금리 상승 등에 큰 폭 하락.


2.미국뉴스

(1)전일 美 연방준비제도(Fed)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이 곧 임박했다는 신호를 줬지만, 대체로 시장이 예상한 수준이었다는 점에서 안도감이 이어지는 모습.

Fed는 전일 매달 1,2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곧(soon)" 축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으며,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 따르면, 지난 6월 회의 때보다 2명 늘어난 절반의 위원들이 2022년 첫 금리 인상을 예상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42.9%로 반영했으며, 해당 기간까지 1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36.1%, 2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6.5%로 모두 전일보다 크게 높아졌음.

(2)中 헝다그룹에 대한 우려도 진정된 모습을 보이면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헝다그룹은 아시아 시장에서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를 오는 23일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음.

이자 규모는 2억3,200만 위안(약 425억원)으로 알려지고 있음. 한편,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정부 당국자들이 가까운 시일 내 도래하는 달러채 디폴트를 피하게 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당국이 지방정부에 헝다의 파산 위기에 대비하고 후속 조처를 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음.

(3)한편, 美 식품의약국(FDA)이 고령층 및 고위험군에만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의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승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는 앞선 FDA 외부 자문위원회의 권고 결정에 따른 것으로, 이번 접종 대상에는 65세 이상 고령층과 18∼64세 연령대에서 중증에 빠질 위험이 큰 사람들뿐만 아니라 해당 연령대에서 감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사람들도 포함됐음.

(4)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부진한 모습.

美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계절 조정기준 전주대비 1만6,000건 증가한 35만1,000건을 기록.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32만건 보다 부진한 수치임. IHS 마킷이 발표한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계절 조정치)는 60.5로 전월 확정치 61.1에서 하락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도 밑도는 수치로 5개월래 최저치임. 9월 서비스 PMI도 54.4를 기록해 전월 확정치 55.1보다 낮아졌으며, 시장 예상치도 밑돌았음.

이는 14개월래 최저치임. 8월 전미활동지수(NAI)는 0.29로 전월 0.75에서 하락했으며 시장 예상치도 하회했음. 9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도 22를 기록해 전월 수치와 시장 예상치를 모두 밑돌았음.

(5)바이든 행정부의 예산안 관련 불확실성도 부각되는 모습.

바이든 행정부가 오는 9월 30일까지 의회가 임시 예산안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연방정부 셧다운(부문 업무정지)에 대비할 것을 준비하라고 연방 기관에 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