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1)파월 Fed 의장 경제 낙관론
(2)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속 고용지표 부진

다우 +222.64(+0.52%) 42,801.72,
나스닥 +126.96(+0.70%) 18,196.22,
S&P500 5,770.20(+0.55%)
뉴욕증시

애플(+1.59%)
마이크로소프트(-0.90%),
아마존(-0.72%),
알파벳A(+0.88%),

메타 플랫폼(-0.36%)
넷플릭스(-1.68%)
테슬라(-0.30%)
엔비디아(+1.92%)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파월 경제 낙관론·러시아 제재 가능성 등에 강세.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68달러(+1.02%) 상승한 67.04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美 채권시장은 파월 Fed 의장 경제 낙관론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우크라 휴전 기대감 등에 유로화 급등 속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2.미국뉴스
(1)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고용지표 부진에도 파월 Fed 의장의 경제 낙관론이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파월 의장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주최 연례 통화정책 포럼 연설에서 "불확실성 수준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경제는 여전히 좋은 위치에 있다"면서 "노동시장은 견조하며, 인플레이션은 우리의 2% 장기 목표에 더 가까워졌다"고 밝힘. 이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과 이민, 재정정책, 규제 등 네 가지 영역에서 "상당한 정책 변화를 실행하는 과정 중에 있다"면서 "우리는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더 큰 명확성을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이날 발표된 비농업 공용지표에 대해 “월간 변동성을 제거해보면 미국의 고용주들은 지난해 9월 이후 월평균 19만1,000명의 일자리를 견조하게 늘려왔다”면서 “많은 지표는 노동시장이 견조하고 광범위하게 균형 잡혔음을 보여준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음.
파월 Fed 의장 경제 낙관론 속 금리 동결 가능성은 높아지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상반기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18.6%로 상승했으며, 50bp 인하 확률은 24.9%로 1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음. 미셸 보우만 Fed 이사는 팬데믹 이후 중립 금리가 상승했을 가능성을 제시했음. 보우만 이사는 뉴욕에서 열린 미국 통화정책 포럼에서 "최근 긴축 주기에 실물 활동이 금리 상승에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앞서 언급한 몇 가지 요인이 중립 금리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라고 분석. 한편,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오는 18일부터 이틀간 개최될 예정.
이날 발표된 고용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2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전월대비 15만1,000명 증가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 16만명 증가를 하회하는 수치임. 이전 두 달 치는 2,000명 하향 수정됐음. 같은 기간 실업률은 4.1%로 전월대비 0.1%포인트 상승해 4.0%를 유지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을 빗나갔음. 경제활동 참가율은 62.4%로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하며 2023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고용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트럼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과 美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를 키우는 모습. GDS자산운용의 글렌 스미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은 불확실성을 좋아하지 않는다”면서 “시장이 안정을 찾고 관세로 인한 매도세에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계속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캐나다와 멕시코 관세를 두고 "시간이 지나면 상승할 수 있다. 나는 예측 가능성이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언급했으며, 캐나다산 목재와 낙농제품에 이르면 이날 2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힘. 한편,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CNBC에 출연해 “시행된 관세는 일회성 가격 조정일뿐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음.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12 미국주식]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2) | 2025.03.12 |
---|---|
[03/11 미국주식]트럼프 경기 침체 우려 확산 (0) | 2025.03.11 |
[03/07 미국주식]트럼프 캐나다,멕시코 관세 유에에도 불확실성 (2) | 2025.03.07 |
[03/06 미국주식]트럼프, 캐나다 멕시코 관세 유예 (1) | 2025.03.06 |
[03/05 미국주식]글로벌 관세 전쟁 심화 경기 둔화 우려 (1) | 2025.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