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섭이의 일상/미국 주식

[06/29 미국주식]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뉴욕증시하락

by 헬시서비 2022. 6.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경제 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다우 -491.27(-1.56%) 30,946.99,
나스닥 -343.01(-2.98%) 11,181.54,
S&P500 3,821.55(-2.01%),

기술주

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애플(-2.98%),
마이크로소프트(-3.17%),
아마존(-5.14%),

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알파벳A(-3.30%),
메타 플랫폼(-5.20%)
넷플릭스(-5.04%)
테슬라(-5.00%)

유가

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이날 국제유가는 원유공급 우려 지속 등에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19달러(+2.00%) 상승한 111.76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경제 지표 부진 경기 침체 우려

이날 채권시장은 PCE 물가 지표 발표를 앞두고 6월 소비자 신뢰지수 부진 속 약세를 이어갔고, 달러화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수요 둔화 우려 등에 하락.

2.미국뉴스

(1)이날 발표된 6월 소비자 신뢰지수, 6월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 등 주요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콘퍼런스보드는 6월 소비자신뢰지수가 98.7을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5월 기록한 103.2보다 하락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00도 하회하는 수치임. 특히,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임. 6월 현재 여건 지수는 전월 147.4에서 147.1로 소폭 하락했고, 6월 기대지수는 전월 73.7에서 66.4로 크게 떨어졌음. 6월 기대 지수는 2013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임.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은 6월 제조업 지수가 마이너스(-) 19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전월치인 -9보다 크게 하락한 수준이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5도 밑돌았음.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계절 조정 4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연율 20.4% 상승했음. 이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전월치(20.6% 상승)에 비해 소폭 둔화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음. 주택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임.

(2)이 같은 경제 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가 재부각되면서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

최근 골드만삭스, S&P 등이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상향 조정한 가운데, UBS도 경기 침체 가능성을 26%로 높였음. 이는 지난 4월 13%로 경기 침체 가능성을 전망한 후 두 배로 올린 것임.

한편,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으며,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50bp나 75bp의 금리 인상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했음. 윌리엄스 총재는 CNBC 인터뷰에서 "침체는 당장 우리의 기본 논거가 아니다"라며, "나는 경제가 강하다고 생각한다. 분명 금융 환경이 긴축됐고 올해 성장이 지난해와 비교해 약간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이어 “현행 1.5~1.75%인 기준 금리가 올해 3~3.5%까지, 내년 어느 시점에 4%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다음 회의에서 50bp나 75bp 금리 인상이 논의될 것 같다”고 언급했음.

(3)중국의 코로나19 방역 규제 완화 소식 등은 긍정적으로 작용.

중국은 이날 해외 입국자와 밀접 접촉자들의 격리 기준을 기존 21일에서 10일로 단축했음. 또한, 베이징은 신규 감염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격리자들의 코로나19 검사 기준을 완화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