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국제유가 하락
(2)美 고용지표 호조

다우 +349.44(+1.02%) 34,707.94,
나스닥 +269.24(+1.93%) 14,191.84,
S&P500 4,520.16(+1.43%),
기술주

애플(+2.27%),
마이크로소프트(+1.54%),
아마존(+0.15%),

알파벳A(+2.38%),
페이스북(+2.86%)
넷플릭스(+0.33%)
테슬라(+1.48%)
유가

국채/금/금리
이날 채권시장은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서방의 러시아 금 제재 속 상승.
2.미국뉴스
(1)전일 급등했던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된 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이날 국제유가는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면서 2% 넘게 하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59달러(-2.25%) 하락한 112.34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과 주요 7개국(G7) 정상, 유럽연합(EU) 지도자들이 만난 가운데, EU는 이번 회의에서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의 수입과 관련한 제재는 발표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주요 외신들은 미국과 바이든 대통령의 압박 속에 EU 정상들은 러시아 신흥재벌 추가 제재와 일부 제재의 구멍을 막는 방안을 승인할 가능성이 있지만,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구매 차단은 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음.
(2)이날 발표된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인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美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대비 2만8,000건 감소한 18만7,000건으로 집계됐다고 발표.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1만건보다 양호한 수치로, 1969년 9월6일 주간에 기록한 18만2,000 건 이후 최저치임.
여타 지표도 대체로 양호한 모습. 美 상무부가 발표한 4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전분기대비 20억 달러(-0.9%) 감소한 2,178억8,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임. 마킷이 발표한 미국의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계절 조정)는 58.5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3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도 58.9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캔자스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3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도 37을 기록해 전월치 29에서 상승했으며, 시장 예상치도 웃돌았음. 다만,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내구재 수주는 전월대비 60억 달러(-2.2%) 감소한 2,715억 달러를 기록해 5개월 만에 둔화세로 돌아섰음.
(3)美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은 지속되는 모습.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연준의 50bp 금리 인상에 열린 마음을 갖고 있다고 밝혔으며,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날 한 행사에서 집값 급등과 지속적인 상승세가 금융안정에 위험을 초래할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음.
(4)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불확실성도 지속되는 모습.
美 재무부는 이날 러시아 추가 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 국가두마(연방의회 하원)와 하원 의원 328명을 제재 대상에 올렸음. 두마 의원 외에도 미사일, 헬리콥터 제조업체를 비롯해 러시아 방산 관련 기업 48곳, 수십명의 러시아 엘리트들도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영국 역시 러시아 은행, 핵심사업, 개인 등을 제재 대상으로 추가했음.
반응형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29 미국주식]러시아 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유가하락 (0) | 2022.03.29 |
---|---|
[03/28 미국주식]지정학적 리스크 fed긴축우려 뉴욕증시혼조 (0) | 2022.03.28 |
[03/24 미국주식]국제유가 급등 fed 공격적 긴축 우려 뉴욕증시하락 (1) | 2022.03.24 |
[03/23 미국주식]저가 매수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지속 뉴욕증시상승 (4) | 2022.03.23 |
[02/22 미국주식]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뉴욕증시하락 (0) | 2022.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