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관련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뉴욕증시
(1)기업 실적 기대감
(2)아프가니스탄 지정학적 리스크
(3)中 경제지표 부진
(4)코로나19 우려 지속
다우 +110.02(+0.31%) 35,625.40,
나스닥 -29.14(-0.20%) 14,793.76,
S&P500 4,479.71(+0.26%),
기술주
애플(+1.35%),
마이크로소프트(+0.60%),
아마존(+0.15%),
알파벳A(+0.42%),
페이스북(+0.95%)
넷플릭스(+0.39%)
테슬라(-4.32%)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中 경제지표 부진 등에 하락.
국채/금/달러
美 국채가격은 경제 지표 부진 및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에 강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테이퍼링 우려 및 안전자산 선호 심리 속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2.미국뉴스
(1)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장악 소식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모습.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은 외국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자 지난 일요일 수도 카불을 장악했음.
미국이 지난 5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단계적 철수를 시작한지 석달 만에 수도 카불이 탈레반에 점령됐으며, 외국 외교공관들도 속속 철수하고 있음.
카불 국제공항은 탈출 인파가 몰리면서 민항기에 이어 군용기의 운항도 중단된 것으로 전해짐.
한편, 바이든 美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대국민 연설에서 “아프간 정부가 포기한 전쟁에서 미군이 희생되면 안 된다”며, “미군을 철수하기로 한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힘.
이어 “아프간에 주둔한 미국의 임무는 국가 건설이 아닌 테러 대응이었다”며 “탈레반이 미국을 공격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음.
중국은 “아프간 정세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는데 우리는 아프간 인민의 염원과 선택을 존중한다”며, 사실상 탈레반 정권을 승인했음.
(2)中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인 점도 부담으로 작용.
중국의 7월 산업생산이 전년동월대비 6.4% 증가했지만, 전월 8.3% 증가와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7.8%를 크게 밑돌았음.
아울러 7월 소매판매 역시 전년동월대비 8.5% 증가해 시장 예상치 11.4% 증가를 밑돌았음.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은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8%에서 8.3%로 하향 조정했음.
ANZ는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 델타 변이 때문에 지난 7월 중국 지역 감염자 수가 늘었다"면서 "최근 며칠 사이에 감염자 수가 줄어들고 있으나, 여전히 델타 변이는 3분기 경제성장의 하방 리스크"라고 밝힘.
한편,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8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가 18.3으로 집계됐다고 발표.
이는 전월 지수가 43.0으로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에 비해 급락한 수준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9.0도 크게 밑돌았음.
(3)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주요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에는 홈디포, 코스트코, 월마트, 타깃 등 소매 업체들의 실적이 발표될 예정. 홈디포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1% 넘게 상승했고, 여타 업체들도 동반 상승.
애플 신고가 갱신 아싸!!!!^^
😍😍😍😍😍😍😍😍
반응형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19 미국주식]FOMC회의록 발표 테이퍼링 가능성 뉴욕증시하락 (2) | 2021.08.19 |
---|---|
[08/18 미국주식]기술주 약세 소매 판매부진 뉴욕증시하락 (2) | 2021.08.18 |
[08/13 미국주식]실업지표개선 기술주강세 뉴욕증시상승 (3) | 2021.08.13 |
[08/12 미국주식] CPI 물가 지표 안도감 인프라투자기대감 (2) | 2021.08.12 |
[08/11 미국주식]1조 달러 인프라투자 통과 코로나우려 지속 (6) | 2021.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