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1)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대기 속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다우 +235.36(+0.56%) 42,225.32,
나스닥 +151.16(+0.87%) 17,601.05,
S&P500 5,670.97(+0.67%)
뉴욕증시

애플(+0.31%)
마이크로소프트(-0.01%),
아마존(+2.00%),
알파벳A(-0.02%),

메타 플랫폼(-0.35%)
넷플릭스(+0.77%)
테슬라(+5.33%)
엔비디아(+0.25%)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위험 선호 심리 회복 등에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51달러(+0.72%) 상승한 71.71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美 채권시장은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대기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유로화 강세 속 美 경기 침체 우려 등에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안전자산 수요 속 상승, 사상 최고치 재경신.
2.미국뉴스
(1)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이 형성되는 모습.
트럼프 대통령은 시장이 기다려온 상호관세를 이날 장 마감 직후인 오후 4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발표할 예정. 발표 후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의 강도와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美 정부는 알루미늄과 철강,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미리 발표했으며, 3일 오전 0시1분부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가 발효된다고 고시했음. 자동차 부품에는 5월3일부터 관세가 발효되며, 알루미늄과 철강 관세 부과에 따른 후속 조치로 미국 정부는 맥주캔에도 오는 4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음.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관세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스캇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일 연방의회 일부 의원들에게 "상호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할 것"이라 말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적용 가능한 관세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발표하고 이후 각국과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부과하더라도 즉각 보복 관세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밝힘.
다만, 관세가 보다 명확해지더라도 상대 교역국들의 대응과 협상 과정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시장 변동성이 단기간 내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양호한 모습.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이 발표한 3월 민간 고용은 전월대비 15만5,000명 증가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와 전월 수치를 모두 큰 폭으로 상회하는 수치임.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책 불확실성과 비관적인 소비심리에도 불구하고 3월 수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의 고용주와 경제에 좋았다"고 평가.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공장 주문은 전월대비 0.6% 증가했음. 다만, 이는 전월 수정치 1.8% 증가율에는 못 미치는 실적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상반기에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할 확률은 64.4%로 낮아졌음. 연내 2차례(각 25bp) 이상 인하 가능성은 86.8%, 3차례 이상 내릴 가능성은 59%로 반영됐음.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07 미국주식]상호관세 쇼크 지속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0) | 2025.04.07 |
---|---|
[04/04 미국주식]상호관세 쇼크 경기 침체 우려 (0) | 2025.04.04 |
[04/02 미국주식]저가 매수세 유입 상호관세 발표 경계 (0) | 2025.04.02 |
[04/01 미국주식]저가 매수세 유입 트럼프 상호관세 경계감 (1) | 2025.04.01 |
[03/31 미국주식]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스태그 플레이션 우려 (1)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