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1)은행 리스크 완화
(2)기술주 강세 지속

다우 +141.43(+0.43%) 32,859.03,
나스닥 +87.23(+0.73%) 12,013.47,
S&P500 4,050.83(+0.57%)
뉴욕증시

애플(+0.99%),
마이크로소프트(+1.26%),
아마존(+1.75%),

알파벳A(-0.49%),
메타 플랫폼(+1.21%)
넷플릭스(+1.93%)
테슬라(+0.72%)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OPEC+ 장관급 감시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40달러(+1.92%) 상승한 74.37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이날 채권시장은 약해진 금리인상 발언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도 은행 리스크 완화 속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2.미국뉴스
(1)지역 은행들의 파산에도 당국이 발 빠르게 대응하며 은행권 리스크가 완화되고 있는 점이 투자 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이 인수된 이후 미국 금융 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불안은 빠른 속도로 진정됐으며, 스위스 연방장관 회의체인 연방평의회가 CS 인수를 위해 스위스 국립은행(SNB)과 UBS에 긴급 신용보증을 제공하도록 결정하는 등 유럽 은행 리스크도 완화되고 있음. 야데니 리서치 대표인 에드 야데니는 전일 CNBC에 출연해 은행 위기는 당국이 잘 억제할 것이라며, 올해 S&P500지수가 4,600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음. 이는 현 수준보다 14%가량 높은 수준임. 야데니 대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은행권 위기에 집중하면서 금리 인상이 후순위로 밀려나 결국 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음. 수잔 콜린스 미국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전미기업경제협회 컨퍼런스에서 “Fed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아직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면서도 “은행권이 대출 기준을 강화하면 추후 추가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고 언급했음.
(2)Fed의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는 인식 속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임.
특히,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속 반도체 관련주들이 연일 강세를 보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5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50.9%,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9.1%를 기록.
다만, 은행 리스크 완화에도 규제 강화 우려에 주요 은행주들은 부진한 모습을 보임.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은행권 위기를 두고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개혁의 완성이라는 미완의 과제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시급성을 상기시킨다”며, “그동안 느슨해졌던 중소형 은행들에 대한 규제 일부를 다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관련해 은행권 규제 강화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로이터 통신은 이날 "백악관이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은행 감독 강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음.
(3)한편,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다소 부진한 모습.
美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는 전기대비 연율 2.6%로 집계됐음. 앞서 발표된 잠정치이자 시장 전망치 2.7%보다 0.1%포인트(p) 낮은 수치임. 상무부는 GDP의 하향은 수출과 소비지출이 하향 조정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9만8,000건으로 전주대비 7,000건 증가했음. 이는 3주만에 처음 증가로 전환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보다도 부진했음. 다만,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상보다 증가했지만, 실업률이 3.6%에 머물고 있으며 구직자 1명당 2개에 가까운 일자리가 남아있는 등 고용 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반응형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04 미국주식]유가 급등 인플레이션 우려 부각 뉴욕증시혼조 (0) | 2023.04.04 |
---|---|
[04/03 미국주식] PCE 물가지수 둔화 뉴욕증시상승 (0) | 2023.04.03 |
[03/30 미국주식]채권 안정 마이크론 강세 뉴욕증시상승 (0) | 2023.03.30 |
[03/30 미국주식]채권 안정 마이크론 강세 뉴욕증시상승 (0) | 2023.03.30 |
[03/29 미국주식] 국채금리 상승 뉴욕증시하락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