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주식 뉴스입니다
1.미국시황
(1)트럼프 관세정책 완화 기대감

다우 +312.08(+0.78%) 40,524.79,
나스닥 +107.02(+0.64%) 16,831.48,
S&P500 5,405.97(+0.79%)
뉴욕증시

애플(+2.21%)
마이크로소프트(-0.16%),
아마존(-1.49%),
알파벳A(+1.23%),

메타 플랫폼(-2.22%)
넷플릭스(+1.41%)
테슬라(+0.02%)
엔비디아(-0.20%)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트럼프, 주요 전자제품 대중 상호관세 면세 속 강보합.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03달러(+0.05%) 상승한 61.53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美 채권시장은 트럼프 관세 우려 일부 완화 속 월러 Fed 이사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관세 불확실성 지속 등에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차익실현 매물 속 5거래일만에 하락.
2.미국뉴스
(1)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두고 계속 혼란을 조장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하기도 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밤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하는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항목들을 담은 공지로,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포함됐음. 이 같은 소식에 애플 등 거대 기술기업이 대중 상호관세의 폭탄을 피해 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아르젠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시장은 행정부가 아마도 가장 극단적인 관세 제안에서 어떤 식으로 든 후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며, "이는 점진적으로 좋은 소식"이라고 분석.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동차 관세 완화 발언도 이어갔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리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일시적인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특정 물품이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자동차업체 일부를 돕기 위한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며, "자동차업체들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하던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지만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고 언급.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고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힘.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도 상호관세 제외 공지에 대해 "그 제품들은 상호관세를 면제받지만, 아마 한두 달 내로 나올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고 밝힘. 美 상무부는 이날 관보를 통해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반도체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힘. 이는 사실상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 조치임.
한편,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며,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변동성 지속을 경고했음.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트럼프의 관세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했음. 월러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분명히 예상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돼 있다면 인플레이션은 2026년에 보다 완만한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둔화가 상당하고 경기침체마저 위협한다면 나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고 더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기대설문(SCE) 조사에서는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6%로 나타났음. 이는 직전월 3.1%에서 0.5%포인트나 상승한 수치로, 2023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임.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22 미국주식]트럼프 파월 압박 지속 관세정책 불확실성 (2) | 2025.04.22 |
---|---|
[04/18 미국주식]트럼프 파월 압박 엔비디아 약세 지속 넷플릭스 실적 (5) | 2025.04.18 |
[04/14 미국주식]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 나스닥 상승 (0) | 2025.04.14 |
[04/11 미국주식]미중 관세 전쟁 격화 나스닥 급락 (3) | 2025.04.11 |
[04/10 미국주식]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나스닥 급등 (1)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