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시서비입니다.
오늘 미국 주식 뉴스입니다
1. 미국 시황
(1)美?베트남 무역합의 타결
(2)고용 지표 부진

다우 -10.52(-0.02%) 44,484.42,
나스닥 +190.24(+0.94%) 20,393.13,
S&P500 6,227.42(+0.47%)
뉴욕 증시

애플(+2.22%)
마이크로소프트(-0.20%),
아마존(-0.24%),
알파벳A(+1.59%),

메타 플랫폼(-0.29%)
넷플릭스(-0.68%)
테슬라(+4.97%)
엔비디아(+2.58%)
유가
이날 국제유가는 이란發 지정학적 우려 및 무역갈등 완화 기대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00달러(+3.06%) 급등한 67.45달러에 거래 마감.
국채/금/금리

이날 채권시장은 美 민간 고용 지표 쇼크에도 英 국채(길트)금리 급등 파장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보합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2. 미국 뉴스
(1)미국과 베트남의 무역합의 타결 소식이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현재 주요 교역국들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미국과 베트남은 이날 무역협정을 체결했음. 합의안에는 베트남산 수입품에 20%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으며,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46% 고율 관세 계획에서 크게 완화된 수준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한 후 무역 합의에 도달한 것을 발표하게 돼 영광"이라고 밝힘. 이어 이번 합의로 미국은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현행 46%에서 20%로 낮추고 자국산 제품을 베트남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으며, 중국과 같은 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우회 수출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40%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미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한 국가는 지난달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두 번째임.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전일 인도와의 무역 합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어 추가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음. 마이클 포켄더 미국 재무부 부장관은 CNBC와 인터뷰에서 "다음 주에 여러 건의 협정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2)민간 고용 지표가 크게 악화된 점은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美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 ADP에 따르면, 6월 민간 부문 신규 일자리 고용은 3만3,000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지난 2023년 3월 이후 처음 감소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와 5월 수치를 대폭 하회했음. 공격적인 관세 정책에도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유지해 온 노동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민간 고용 부진 속 오는 3일 美 노동부가 발표하는 고용동향보고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6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12만건 증가해 5월 수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같은 기간 실업률은 5월 4.2%에서 4.3%로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민간 고용 지표 부진 속 7월 금리 인하 기대감은 다소 커지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선물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29~30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4.25~4.5%에서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23.3% 반영했음. 이는 전일 20.7%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임.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투자전략가는 "고용 보고서가 상당히 부진할 경우 Fed가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며, "특히 예상보다 고용 지표가 약하다면 그럴 수 있다"고 전망했음.
한편,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국정 의제를 담은 대규모 감세안의 하원 통과 여부를 주목하고 있음. 전일 상원을 통과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하원 표결 절차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상원안이 기존 하원을 통과한 법안보다 재정적자를 더 늘린다는 점에서 하원 내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인 7월4일 이전 법안 서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하원 표결 통과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음.
'섭이의 일상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08 미국주식]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 속 관세 불확실성 재부각 (1) | 2025.07.08 |
---|---|
[07/04 미국주식]고용 지표 호조 속 경기 둔화 우려 완화 (3) | 2025.07.04 |
[07/02 미국주식] 무역 협상 상황 주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2) | 2025.07.02 |
[07/01 미국주식]무역협상 기대감 금리 인하 기대감 (4) | 2025.07.01 |
[06/30 미국주식]무역 협상 기대감 트럼프 캐나다와 무역협상 중단 (4) | 2025.06.30 |
댓글